건강결과
※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(표)을 보실 수 있습니다.
지표명 | 지표정의 | 단위 | 기관명 | 자료원 |
---|---|---|---|---|
기대수명 |
0세의 출생아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생존연수 (0세의 기대여명)
*기대여명 = 특정 연령(x세)의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수 |
년 | 국민건강보험공단 | 의료이용지표 |
주관적 건강인지율 |
주관적 건강수준을 "매우 좋음" 또는 "좋음"에 응답한 사람의 분율
주관적 건강수준을 "매우 좋음" 또는 "좋음"에 응답한 사람의 수 / 조사대상 응답자 수 X 100 |
% | 질병관리청 | 지역사회건강조사 |
삶의질 지수 (EQ-5D) |
건강관련 삶의 질의 5가지 차원(운동능력, 자기관리, 일상 활동, 통증/불편, 불안/우울)의 기술체계를 종합한 지표 |
질병관리청 | 지역사회건강조사 | |
고혈압 조절률 |
전년도 고혈압 의료이용자 중, 해당 연도 1차 일반·생애건강검진에서 수축기혈압이 140mmHg 미만이고 이완기혈압이 90mmHg 미만인 자의 비율 전년도 고혈압 의료이용자 중 해당 연도 일반·생애건강검진에서 수축기혈압이 140mmHg 미만이고 이완기혈압이 90mmHg 미만인 자의 수 / 전년도 고혈압 의료이용자 X 100 |
% | 국민건강보험공단 | 의료이용지표 |
당뇨병 조절률 |
전년도 당뇨병 의료이용자 중, 해당 연도 1차 일반·생애건강검진에서 공복혈당이 126mg/dL 미만인 자의 비율 전년도 당뇨병 의료이용자 중 해당 연도 일반·생애건강검진에서 공복혈당이 126mg/dL 미만인 자의 수 / 전년도 당뇨병 의료이용자 X 100 |
% | 국민건강보험공단 | 의료이용지표 |
저작불편 호소율 (65세 이상) |
현재 치아나 틀니, 잇몸 등 입안의 문제로 음식을 씹는데 불편하다고 인식하는 65세 이상 사람의 분율 현재 치아나 틀니, 잇몸 등 입안의 문제로 음식을 씹는데 불편하다고 인식하는 65세 이상 사람의 수 / 65세 이상 조사대상 응답자 수 X 100 |
% | 질병관리청 | 지역사회건강조사 |
단태아 저체중 출생률 |
당해 연도에 출생한 단태아 중에서 출생 시 체중이 2.5kg보다 작은 태아의 비율
단태아 중에서 출생시 체중이 2.5kg보다 작은 태아의 수 / 당해년도 단태아 출생자 수 X 100 |
% | 통계청 | 인구동향조사 |
치매유병율 (65세이상) |
노인인구 백명 당 치매환자 수
65세 이상 치매환자 수 /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수 X 100 |
% |
중앙치매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|
치매현황 건강검진통계 |
결핵신환자수 |
인구 십만 명당 신고 결핵 신환자 수
결핵신환자수 / 주민등록연앙인구 |
명/십만 명 | 질병관리청 | 결핵환자신고현황 |
사망률 |
모든 사망원인으로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
∑(연령별 사망률×표준인구의 연령별 인구) / 표준인구 |
명/십만 명 | 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암 사망률 | 암(C00-C97, 악성신생물)으로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 | 명/십만 명 | 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심장질환 사망률 | 심장질환(I20-I51)으로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 | 명/십만 명 | 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뇌혈관질환 사망률 | 뇌혈관질환(I60-I69)으로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 | 명/십만 명 | 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폐렴 사망률 | 폐렴(J12-J18)으로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 | 명/십만 명 | 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자살 사망률 | 자살(X60-X84, 고의적 자해)으로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 | 명/십만 명 | 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당뇨병 사망률 | 당뇨병(E10-E14)으로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 | 명/십만 명 | 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치료가능 사망률 | 인구 십만명당 치료가능 사망원인에 의한 사망자 수 | 명/십만 명 | 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결핵 사망률 | 결핵(A15-A19)에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 | 명/십만 명 |
통계청 질병관리청 |
사망원인통계 결핵환자신고현황 |
법정감염병 사망률 |
인구 십만명당 법정감염병(제1군, 제2군, 제3군, 제4군)에 의한 사망자 수 * 결핵 제외 * AIDS, VRSA, C형간염, CRE는 전국 단위로만 발표 |
명/십만 명 | 질병관리청 |
법정감염병 발생보고 |
모성사망비 |
당해 연도 출생아 십만명당 모성사망의 수
모성사망자 수 / 출생아 수 X 100,000 |
명 / (출생아) 십만명 |
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
영아사망률 |
출생 후 1년 이내(365일 미만)에 사망한 영아 수를 해당 연도의 출생아 수로 나눈 수치를 100,000분비로 나타낸 값
당해연도 0세 사망아 수 / 당해연도 연간 총 출생아 수 X 100,000 |
명 / (출생아) 십만명 |
통계청 | 사망원인통계 |